인천공항공사, 공항-경기도 구간 심야 공항버스 ‘운행 확대’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4-01-31 14:37:50
  • -
  • +
  • 인쇄
N8844(인천공항-남양주), N8877(인천공항-용인) 2개 노선 운행
기존 6개 노선 운행시간 조정으로 심야 시간 여객 편의 개선 전망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오는 2월1일부터 인천공항-경기도 구간의 심야 공항버스 2개 노선을 신규 운행하고 기존 노선의 운행시간을 조정해 심야시간 공항 이용객 편의를 개선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29일 오전 공사 회의실에서 경기도와 ‘경기 심야 공항버스 확대 및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9일 오전 공사 회의실에서 열린 ‘경기 심야 공항버스 확대 및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 유구종 운영본부장(사진 왼쪽)이 경기도 김상수 교통국장과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 유구종 운영본부장, 경기도 김상수 교통국장 및 양 기관 관계자 약 10명이 참석했으며, 심야 공항버스 활성화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우선 2월 1일부터 N8844(인천공항-남양주), N8877(인천공항-용인)의2개 노선이 신규로 운행을 시작해 인천공항-경기지역 심야 공항버스 운행 노선이 기존 6개에서 8개 노선으로 늘어난다.


2개 신규 노선은 일 2회 운행하며, N8844 노선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종점)-진벌리(기점) 구간을, N8877 노선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종점)-한국민속촌(기점) 구간을 운행한다.

 

또 기존에 운행 중인 6개 노선의 경우 항공기 출도착 시간 등을 고려해 운행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심야 시간대 공항 이용객들의 이용 편의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각 노선별 운행시간 및 정류소 위치 등 세부 이용정보는 각 운송사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운행편은 ‘티머니go’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천공항 내 현장 매표 발권기를 통해 예매 후 탑승하여야 한다.

 

▲인천공항-경기지역 심야 공항버스 운행시간 변경 개요

이학재 인천국제공항사장은 “최근 해외여행 수요 증가로 심야시간대 공항 이용객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해 신규 노선 개설을 포함한 활성화 대책을 시행하게 되었다”며 “인천공항을 이용하시는 여객 분들의 이용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심야 공항버스를 포함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중단된 심야 공항버스 노선을 활성화하기 위해 운행 보조금 지원 등의 노력을 지속 경주해 왔으며, 지난 2023년 3월 3개 노선 운행 재개 이후 오는 2월1일부터는 총 13개 노선(서울 5개 노선, 경기 8개 노선, 일 편도 기준 총 72편)이 운행하게 되어 코로나19 이전의 3개 노선(총 28편) 보다 크게 늘어나게 됐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크라운해태제과, 제20회 창신제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크라운해태제과는 오는 10월 17일(금)부터 19일(일)까지 3일간 오후 5시 서울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제20회 창신제(創新祭)’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2004년 ‘옛 것을 바탕으로 새로움을 창조한다’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을 주제로 시작된 창신제는 민간기업이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이자 최다 개최 전통음악 공연이다. 스무

2

정수기 점검하던 코웨이 코디, 70대 독거노인 목숨 구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코웨이 방문점검판매원(코디)이 정수기 정기 점검 서비스 중 위급 상황에 처한 독거노인을 신속히 구조해 생명을 지킨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코웨이에 따르면 양재지국 소속 손연옥 코디는 지난 7월 서울 강남구의 한 70대 독거노인 자택을 방문해 점검을 진행하던 중, 고객이 “가슴이 답답하다”고 호소하자 이상을 감지하고 자리를 뜨지 않았

3

금감원, 우리銀 '기관주의' 제재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금융감독원은 고액 현금 거래 보고 의무와 일회성 금융거래 관련 확인 의무를 위반한 우리은행에 기관주의 제재를 내렸다고 30일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2020년 7월 16일부터 2024년 9월 27일까지 발생한 1000만원 이상의 고액 현금거래 중 772건을 금융정보분석원장에게 보고하지 않아 고액 현금거래 보고 의무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