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APEC 제주 유치 기원 '제주의 하루' 개최

주영래 기자 / 기사승인 : 2024-02-27 09:29:14
  • -
  • +
  • 인쇄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를 기원하기 위해 28일 서울 아이파크몰 용산점 4층 더가든에서 ‘제주의 하루’행사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APEC 정상회의 제주유치를 위한 수도권 홍보 확대 전략의 차원에서 마련됐다.  

 

▲ 제주도, APEC 제주 유치 기원 '제주의 하루' 개최

도외 지역에서 지지 분위기를 조성하고 제주도의 정책을 알리는 동시에 지역 생산품 판매와 연계한 소비촉진 행사로 제주의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1석 3조의 포석이다.

행사는 2025 APEC 정상회의 제주유치 홍보와 함께 고향사랑기부제, 워케이션 등 도정의 정책과 그린수소·인공위성·도심항공교통(UAM) 등 제주의 미래를 책임지게 될 신성장 산업을 소개하는 자리로 진행된다.

또한 제주여행플랫폼 탐나오 이용객에 대한 할인이벤트와 이제주몰에 입점한 제주지역 생산품의 판촉도 병행한다. 제주피자, 딱새우라면, 우도땅콩, 한라봉, 과즐 등을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고 다양한 이벤트 상품을 제공하는 등 행사장을 찾은 방문객들에게 제주의 매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영훈 도지사와 함께 사우스카니발과 홍조×한스, 별소달소 등 제주 출신 뮤지션들도 함께 참여해 제주 문화의 유쾌함과 우수성도 공유한다.

행사 장소는 일 유동인구가 20만 명이며, 상주직원이 3,000여 명 정도 된다. 복합쇼핑몰 방문객과 인근 직장인 등 최소 3,000여 명 이상에게 홍보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제주도는 수도권을 비롯한 도외지역 거주자, 입도관광객을 대상으로 2025 APEC 정상회의 제주유치 노력을 알리기 위해 올해 1월부터 서울 광화문과 동대문지역의 옥외 전광판, 버스정류장과 지하철 등을 활용한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제주공항 2층 대합실 기둥면을 활용한 DID 광고, 김포공항 무빙트랩 DID와 함께 군산공항, 목포·여수·완도항 여객터미널 등 제주로 여행을 오는 관광객 등을 대상으로 홍보 분위기를 조성 중이다.

앞으로 수도권 도심 전광판 광고를 확충하고 MZ세대 등을 타깃으로 지하철 주요 노선에 대한 광고도 확대할 방침이다.

김인영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도내외 홍보와 다양한 네트워크를 활용한 유치노력을 강화하고, 유치신청서·PT발표 및 현장실사 대비를 철저하게 준비해 2025 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를 성공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월 말 현재 2025 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를 지지하는 결의는 총 95회에 걸쳐 1만 2,50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남양유업, 자사몰 ‘신상위크’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남양유업이 오는 21일까지 ‘남양몰’에서 ‘신상위크’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초코에몽 Mini 무가당’ ‘테이크핏 몬스터’ ‘테이크핏 맥스’ 등 주요 신제품을 최대 53%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유산균 1조 CFU를 담은 ‘불가리스 플레인’ 위 건강 발효유 ‘위쎈 오리지널’ 야채 발효 주스

2

코레일, 차량분야 협력사와 ‘청렴소통 간담회’ 개최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지난 11일 대전사옥에서 철도 차량분야 협력사와 ‘차량 부품의 규격심사·납품과정에서의 청렴소통’을 주제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현대로템, 우진산전 등 차량 제작사와 부품 납품사 등 31개 업체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코레일은 철도차량 및 부품 구매 시 규격심사부터 검사, 납품까지의 업무

3

하림, '2025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하림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데 앞장선 기업을 인증하는 제도다. 하림은 적극적인 고용 확대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24년도 총 고용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