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AI 기반 해외 EPC 입찰안내서 분석 시스템 '바로답' 개발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5-03 17:33:39
  • -
  • +
  • 인쇄

대우건설이 인공지능(AI) 기반 해외 EPC(설계·조달·시공) ITB(Invitation To Bid, 입찰안내서) 비정형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3일 밝혔다. 이를 통해 대우건설은 EPC 프로젝트 수주 경쟁력을 극대화하고, 글로벌 시장 리더십을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통상 해외 EPC 사업 입찰 시에는 최대 7000여 페이지에 달하는 다량의 입찰 문서를 정해진 시간 내에 충분히 검토하기 위해 많은 인원과 시간이 투입된다. 

 

▲ 대우건설이 시공 중인 오만 DUQM 정유시설 전경 [사진=대우건설 제공]


뿐만 아니라 해외EPC 프로젝트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자격 및 시행 요건 또한 복잡해지다보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을 통한 혁신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대우건설은 SAS코리아와 협업으로 지난해 6월부터 약 8개월 간 AI를 기반으로 하는 SAS 솔루션을 활용한 분석시스템 'BaroDAP(바로답)'을 구축했다.

‘바로답’은 ▲PDF 파일의 테이블 인식 및 본문 텍스트를 추출하고 문서 구조를 인식해 자동으로 목차별 섹션을 분리하는 데이터 전처리 ▲AI 머신러닝 기반으로 3억 6000만 개의 단어를 분석해 공종(Discipline) 분야별 체크리스트를 자동 분류하는 텍사노미 모형을 구축하는 비정형 텍스트 분석 ▲대시보드, 분석 및 검토화면 시각화 등을 구현했다.

또한 비정형 데이터인 입찰 문서(PDF 및 MS 오피스 파일)의 구조와 데이터를 짧은 시간에 자동 인식해 목차별 섹션을 추출하고, 수천 개의 카테고리 리스트에 해당하는 각각의 문서 섹션을 분리한다. 공종별 담당자는 각자 필요한 카테고리 리스트에 해당하는 문서의 섹션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어 쉽고 빠르게 발주처의 요구 및 제약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입찰/실행 프로젝트 전체 공종에 대한 진행상황 및 이슈도 대시보드를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대우건설은 ‘바로답’을 통해 사업 담당자의 각 요건별 전문성을 높이고, 전문 인력의 노하우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수주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대형화되는 해외 EPC 프로젝트에 대응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사업수행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초석을 다지게 됐다”며 “다년간 쌓인 EPC 사업의 전문 역량과 향후 '바로답'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하이트진로, 추석 맞아 '테라 싱글몰트 에디션 선물세트' 출시
[메가경제=정호 기자] 하이트진로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가치소비 트렌드에 맞춘 ‘테라 싱글몰트 에디션 선물세트’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선물세트는 355ml 캔 8개와 전용잔(425ml) 1개로 구성해 명절 선물의 품격을 더했다. 최근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소비 패턴이 강화되면서 유기농, 무첨가 등 프리미엄 먹거리를 찾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2

금호타이어, 기아 'PV5'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메가경제=정호 기자] 금호타이어가 기아 브랜드 최초의 전동화 전용 PBV(Platform Beyond Vehicle)인 ‘더 기아 PV5(이하, PV5)’에 신차용 타이어(OE, Original Equipment)를 공급한다고 18일 밝혔다. ‘PV5’는 기아의 첫 PBV 모델로 전동화 전용 플랫폼 e-GMPS를 기반으로 급속 충전 성능 확보로 안정적인

3

"독서와 함께하는 휴식 공간 "제네시스, 부산국제영화제서 브랜드 공간 운영
[메가경제=정호 기자] 제네시스 브랜드가 부산 영화의전당 일대에서 진행되는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에 후원사 중 최대 규모의 브랜드 공간인 <제네시스 퍼블릭 부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18일부터 25일까지 운영되는 <제네시스 퍼블릭 부스>는 씨네 라이브러리 더 사운드 트랙 인터뷰 룸 시네마틱 스튜디오로 구성됐으며, 관객들이 다양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